| 
				
				
					|  |  
					|  |  
					
				 
					|  |  
					|   |  
					|  |  
					|  |  
					|  |  
					|  |  
					|  |  
					|  |  
					|  |  
					|  |  
					|  |  
					| 
							
								| 6만원 이상 무료배송 |  
								|  |  
								| 주문하시는 총상품금액의 합계가
 6만원 이상일 경우
 택배비가 무료입니다.
 |  |  
					|  |  
					|  |  |  | 
	
		|  |  
		|  |  
		|  |  
		|  |  
		|  
				
					| 작성자: 
						
							방장
						
						  
						
							작성일: 2009-08-04 14:47  
						
						조회: 12837  
						댓글: 0 |  |  
		|  |  
		| 
				
					| 태그구름(Tag Cloud)은 메타 데이터에서 얻어진 태그들을 분석하여
 중요도나 인기도등을 고려하여 시각적으로 늘어 놓아 웹 사이트에 표시하는 것이다.
 보통은 2차원의 표와 같은 형태로 태그들이 배치되며 이때 순서는 알파벳/가나다 순으로 배치 된다.
 시각적인 중요도를 강조를 위해 각 태그들은 그 중요도(혹은 인기도)에 따라 글자의 색상이나 굵기등 형태가 변한다.
 사용자는 이렇게 표시된 태그 중 마음에 드는 키워드를 발견하고 그것을 선택하여 그 메타 데이터에 원래 연결된 웹 페이지로 이동하게 된다.
 
 
 
 역사
 
 가장 먼저 널리 알려지게 된 계기는 사진 공유 사이트인 플릭커(Flickr)였다.
 이후 Del.icio.us 나 테크노라티 같은 웹사이트들에서 비슷한 기능을 선보였으며 이를 통해 여러 웹사이트들로부터 인기를 끌게 되었다.
 그러나 가장 먼저 대중에 발표된 이러한 형태를 가진 구조는 더글러스 쿠프란드의 소설 《마이크로서프》 (Microserfs, 1995)에서 볼 수 있다.
 
 
 
 종류
 
 태그 구름은 외적인 모습보다는 그 의미적인 면에서 두가지로 구분된다.
 
 어떤 하나의 연결에 연관된 태그들이 얼마나 많으며 어떤 종류인지 보여주는 것이다.
 이것은 어떤 내용에 민주적으로 투표된것과 마찬가지로 여러 사용자들에의해 그것이 어떤 태그와 연결되는것이 알맞은지를 보여줄 수 있다.
 예를 들어 어떤 음악가의 음악이 어떤 장르의 음악인지 보여주는 Last.fm의 경우에 볼 수 있다.
 
 가장 대표적인 경우로 각 태그들이 얼마나 인기도가 높은지를 보여주는 표시법으로 사용되는 경우이다.
 이때 태그들의 글자 크기나, 색상, 형태들이 인기도에 따라 변화되며 이때 인기도는 사용자들의 선택에 의해 자동적으로 갱신되게 된다.
 
 
 위키백과참조
 
 
 |  |  
		|  |  
		|  |  
		|  |  
		| * 관련 댓글 한말씀 부탁합니다. |  
		|  |  |